![Article Title](https://tistory1.daumcdn.net/tistory/0/tisButterflyPurple/images/icon_post_title.gif)
- 부주의하고 경솔하며 뒤늦은 보초와 전초는 부대원들의 안전을 위협하며, 이들의 근무태만은 명령 수행에 지장을 준다. 특히, 경계근무를 왜 서야하는지 모르고 강제적으로 근무를 서야하는 경우와 같이 경계근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빈번하고 불규칙한 근무편성에 있어 간부들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.
- 경계근무, 특히 야간기습에 대비한 경계근무에서는 초소, 숙영지, 막사 주변의 경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. 초병은 극도의 주의력을 가지고 훈련하고 경계근무를 서야 한다. 특히 보급부대의 경계근무에서는 주변경계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.
- 초병교육에 있어 위험에 대해 가르치기 보다는 오히려 위험과 그 결과를 가시화하고 경험할 수 있게 한다. 또한 단시간의 경계근무에서 주의력, 면밀함, 의혹발산 등을 교육한다.
- 경계는 규정된 연습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각 상황에서 각 병사들에게 세밀하게 지시를 내리고 양심적으로 보고할 수 있게 한다.
- 전투숙달 : 경계병이 너무 많을 필요는 없다. 또한 교대시간은 불규칙하게 설정하여 약점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, 발성장애물을 설치하여 시야가 제한된 지역에서의 경계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. 사각지대에는 철조망 - 지뢰를 이용한 봉쇄선을 구축하고, 봉쇄선과 발성장애물, 그리고 아군 진지 사이의 거리는 수류탄 투척거리보다 멀어야 한다. 전투가 장기화 될 경우 화생방 공격에 대한 방어대책도 세우고, 대공경계 역시 주의한다. 초병들은 신호규정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신호규정은 자주 바꿔준다.
- 언제나, 어느 곳에서, 주변을 둘러서.. 경계를 해야 한다. 경계선이 그어져 있다고 해서 경계선 안에서만 돌아다닐 것이 아니라 경계선 밖의 상황도 항시 살펴봐야 한다.
- 경계근무, 특히 야간기습에 대비한 경계근무에서는 초소, 숙영지, 막사 주변의 경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. 초병은 극도의 주의력을 가지고 훈련하고 경계근무를 서야 한다. 특히 보급부대의 경계근무에서는 주변경계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.
- 초병교육에 있어 위험에 대해 가르치기 보다는 오히려 위험과 그 결과를 가시화하고 경험할 수 있게 한다. 또한 단시간의 경계근무에서 주의력, 면밀함, 의혹발산 등을 교육한다.
- 경계는 규정된 연습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각 상황에서 각 병사들에게 세밀하게 지시를 내리고 양심적으로 보고할 수 있게 한다.
- 전투숙달 : 경계병이 너무 많을 필요는 없다. 또한 교대시간은 불규칙하게 설정하여 약점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, 발성장애물을 설치하여 시야가 제한된 지역에서의 경계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. 사각지대에는 철조망 - 지뢰를 이용한 봉쇄선을 구축하고, 봉쇄선과 발성장애물, 그리고 아군 진지 사이의 거리는 수류탄 투척거리보다 멀어야 한다. 전투가 장기화 될 경우 화생방 공격에 대한 방어대책도 세우고, 대공경계 역시 주의한다. 초병들은 신호규정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신호규정은 자주 바꿔준다.
- 언제나, 어느 곳에서, 주변을 둘러서.. 경계를 해야 한다. 경계선이 그어져 있다고 해서 경계선 안에서만 돌아다닐 것이 아니라 경계선 밖의 상황도 항시 살펴봐야 한다.